본문 바로가기
뉴질랜드 일상

한국과 뉴질랜드의 최저임금, 그리고 평균 연봉 차이 비교해보기

by WGK_NZ 2025. 4. 10.

안녕하세요-! 뉴질랜드 새댁입니다.

 

오늘은 한국과 뉴질랜드의 최저임금, 그리고 평균 연봉 차이를 한번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뉴질랜드 최저임금은 높기로 유명하죠! 물론 호주가 조금 더 높습니다.

 

예전에는 뉴질랜드 임금이 훨씬 높았는데,

요즘은 한국도 최저임금이 많이 오르기도 하고 전반적으로 소득이 더 높아서

지금은 한국이 뉴질랜드보다 소득이 더 높은 편이라고 합니다.

 

 

그럼 한번 비교해보겠습니다.

한국 vs 뉴질랜드 경제 지표 비교 (2025년 기준)

 

한국   vs 뉴질랜드 비교 요약

 

  

최저임금 (시간당) 10,030 KRW
(2024년: 9,860 KRW, 170 KRW↑, 1.7% 인상)
23.50 NZD
(약 19,270 KRW)
(2024년: 23.15 NZD, 0.35 NZD↑, 1.5% 인상)
한국이 약 9,260 KRW 낮음.
구매력은 한국이 유리할 가능성.
최저임금 (월 기준) 약 2,096,270 KRW
(주 40시간, 주휴수당 포함)
정규직: 약 1,928,200 KRW
비정규직: 약 2,082,456 KRW(25.38 NZD × 820 × 40 × 4.33주)
비정규직 기준 뉴질랜드가 약 13,814 KRW 높음. 정규직은 한국이 168,070 KRW 높음.
중위소득 (월 기준) 약 3,500,000 KRW
(2024년 기준)
2025년 약 3,600,000 KRW 예상
3,404,640 KRW (주간 기준)
시간당 기준 약 2,592,020 KRW
비슷한 수준. 뉴질랜드 생활비 고려 시 한국이 실질적 우위 가능.
대졸자 초봉 (연간) 약 37,500,000~42,000,000 KRW(2024년 대비 45%↑ 예상) 약 41,000,000~49,200,000 KRW
(50,00060,000 NZD, 소폭 상승 예상)
뉴질랜드가 명목상 높음. 한국 대기업 초봉은 비슷하거나 우위, 구매력은 한국 우위.

1. 최저임금 비교

한국 최저임금

  • 2024년: 시간당 9,860 KRW
  • 2025년: 시간당 10,030 KRW (2024년 대비 170 KRW 인상, 약 1.7% 증가) 현재
  • 월 기준 (2025년): 주 40시간 근로 시 약 2,096,270 KRW (10,030 × 209시간, 주휴수당 포함)
  • 특징: 2025년 최저임금은 고용노동부가 2024년 8월 5일 고시한 금액으로, 1988년 제도 도입 이후 처음으로 1만 원을 돌파했습니다. 170원 인상은 물가 상승과 경제 여건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뉴질랜드 최저임금

  • 2024년 4월 1일까지: 시간당 23.15 NZD 
  • 2025년 4월 1일부터: 시간당 23.50 NZD (0.35 NZD 인상, 약 1.5% 증가) 현재
  • 월 기준 (2025년): 주 40시간 근로 시 약 1,928,200 KRW (23.50 NZD × 820 KRW × 40시간 × 4.33주)
  • 특징: 뉴질랜드는 2025년 4월 1일부터 최저임금을 23.50 NZD로 인상하며, 약 14만 명의 저임금 근로자가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비교

  • 금액: 한국(2,096,270 KRW)이 뉴질랜드(1,928,200 KRW)보다 약 168,070 KRW 높습니다. 하지만 구매력(PPP)을 고려하면 차이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 구매력: 뉴질랜드의 주거비와 생활비가 한국보다 높아, 한국의 최저임금이 실질적으로 더 유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중위소득 비교

한국 중위소득

  • 2024년 기준: 월 약 3,500,000 KRW (약 2,593 USD)
  • 2025년 예상: 물가 상승률(약 23%)을 감안하면 약 3,600,000~3,650,000 KRW로 소폭 증가 가능.
  • 특징: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가 있으며, 2025년 최저임금 인상으로 저소득층 소득이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뉴질랜드 중위소득

  • 2024년 기준: 주간 959 NZD (월 약 3,404,640 KRW, Stats NZ 데이터). 시간당 기준으로는 31.61 NZD (월 약 2,592,020 KRW).
  • 2025년 예상: 최저임금 인상과 연동해 소폭 상승 가능하나, 정확한 데이터는 아직 없음.
  • 특징: 복지 혜택(의료 등)이 강해 실질 소득 가치가 높을 수 있습니다.

비교

  • 금액: 한국(3,500,000 KRW)이 뉴질랜드 시간당 기준(2,592,020 KRW)보다 높고, 주간 기준(3,404,640 KRW)과 비슷합니다.
  • 생활비 반영: 뉴질랜드의 높은 생활비한국이 실질적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큽니다.

3. 대졸자 초봉 평균 비교

한국 대졸자 초봉

  • 2024년 기준: 연간 약 36,000,000~40,000,000 KRW (세전, 대기업 기준)
  • 2025년 예상: 최저임금 인상과 물가 상승을 반영해 약 45% 증가, 37,500,000~42,000,000 KRW 예상.
  • 특징: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가 크며, IT·금융 업종이 평균을 상회합니다.

뉴질랜드 대졸자 초봉

  • 2024년 기준: 연간 50,000~60,000 NZD (약 41,000,000~49,200,000 KRW)
  • 2025년 예상: 최저임금 인상(1.5%)과 비슷한 수준으로 소폭 상승 가능, 51,000~61,000 NZD 예상.
  • 특징: 기술직(IT·엔지니어링)이 평균 이상이며, 산업별 분포가 고릅니다.

비교

  • 금액: 뉴질랜드(41,000,000~49,200,000 KRW)가 한국(37,500,000~42,000,000 KRW)보다 약간 높습니다.
  • 실질 가치: 뉴질랜드의 높은 생활비를 감안하면 한국 초봉의 실질 가치가 더 높을 수 있으며, 한국 대기업 초봉은 뉴질랜드 평균을 상회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종합 분석

  • 최저임금: 한국(2025년 10,030 KRW, 2024년 대비 170 KRW ↑)이 뉴질랜드(23.50 NZD)보다 명목상 높고, 구매력에서도 유리할 가능성.
  • 중위소득: 두 나라가 비슷하나, 뉴질랜드의 생활비가 소득 가치를 낮춤.
  • 대졸자 초봉: 뉴질랜드가 명목상 높지만, 한국 대기업 초봉과 생활비를 고려하면 비슷하거나 한국이 우위.

한국은 소득 대비 생활비에서 강점을, 뉴질랜드는 복지와 삶의 질에서 장점을 보입니다.

 

뉴질랜드 최저임금 (Holiday Pay 8% 반영)

  • 정규직: 시간당 23.50 NZD (2025년 4월 1일부터 적용). 월 기준 약 1,928,200 KRW.
  • 비정규직: 시간당 23.50 NZD에 8% 연차휴가 수당을 더해 25.38 NZD (23.50 × 1.08).
    • KRW 환산: 25.38 × 820 = 약 20,811 KRW.
    • 월 기준: 25.38 NZD × 820 KRW × 40시간 × 4.33주 = 약 2,082,456 KRW.
  • 특징: 뉴질랜드에서는 정규직 근로자는 연차휴가를 받지만, 비정규직(캐주얼 근로자)은 휴가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임금에 8% 추가 지급을 받습니다.

한국 최저임금과 뉴질랜드 최저임금 비교

  • 한국 최저임금10,030 KRW (월 2,096,270 KRW). 한국은 주휴수당(주 15시간 이상 근로 시)이 포함되지만, 뉴질랜드의 Holiday Pay와 같은 별도 수당은 없습니다.
  • 시간당: 비정규직 기준으로 뉴질랜드(20,811 KRW)가 한국(10,030 KRW)보다 약 10,781 KRW 높습니다. 정규직 기준으로는 여전히 한국이 약간 낮습니다.
  • 월 기준: 비정규직 기준 뉴질랜드(2,082,456 KRW)가 한국(2,096,270 KRW)과 거의 비슷해졌으며, 약 13,814 KRW 차이로 한국이 살짝 앞섭니다. 정규직 기준으로는 한국이 여전히 우위.

중위소득 및 대졸자 초봉

  • Holiday Pay는 최저임금에만 적용되므로 중위소득과 대졸자 초봉에는 변동이 없습니다.

 

Holiday Pay 반영으로 뉴질랜드 비정규직 최저임금이 크게 상승했지만, 전체 비교에서는 여전히 두 나라가 상황에 따라 장단점을 보입니다.

 

오늘은 뉴질랜드와 한국의  임금, 연봉을 분석해봤는데요,

뉴질랜드가 생활비가 비싸서 한국이 실질적으로는 더 낫다고 여겨지네요.

 

그럼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모두 오늘도 화이팅  모두 각자 위치에서 열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