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_ 한국 및 글로벌 경제

EBS 금융교육 3강, 금리와 환율 - 돈의 역학, 금리와 채권은 반비례 왜 그럴까?

by WGK_NZ 2024. 12. 4.

안녕하세요-!

 

뉴질랜드 새댁입니다.

 

오늘은 지난 2강에서 리스크, 투자에서 승리하는 법

강의를 이어서 3강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3강 내용은 금리와 환율, 그리고 

채권, 금리와 채권이 왜 반비례하는지를

다루는 내용입니다.

 

금리와 채권 반비례 이유 / EBS 금융교육

 

EBS 금융, 역시 EBS답게 기본기와 개념을

먼저 탄탄하게 잡아주는 느낌이에요.

 

학창시절 공부하는 것 같은 느낌으로

요즘 금융공부도 기본기를 같이 하고 있어요.

 

도움이 되시길 바라면서

바쁘신 분들을 위해 

내용을 요약해봤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1Onp3C6jYYE

 

경제 3강 금리와 환율, 밀고 당기는 돈의 역학

 

  1. 금리와 투자의 상관관계
  • 금리가 오르면 주식 가격이 하락하고, 내리면 주식 가격이 상승합니다.
  • 채권은 금리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시중금리가 낮을 때 가격이 오릅니다.
  1. 경기 예측
  • 장기 금리의 변화는 미래 경기를 예측하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 경기 상황에 따라 현재 돈과 미래 돈의 가치 교환 비율이 달라집니다.
  1. 환율 변동 요인
  • 금리는 환율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국가 간 금리 차이에 따라 외국인 투자와 환율이 변동됩니다.

핵심 메시지
환율과 금리는 개인의 통제를 벗어난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복잡하게 변동되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지속적인 관심과 주의가 필요한 영역입니다.

 

채권 시장은 현재의 돈과 미래의 돈을 교환하는 곳입니다. 이 시장의 핵심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채권의 가격 변동
    채권은 금리와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시중금리가 낮을 때 채권 가격이 오르고, 금리가 높을 때 채권 가격이 떨어집니다.
    . 특히 만기가 긴 채권일수록 금리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2. 금리 예측의 지표
    채권 시장에서 거래되는 채권의 가격은 투자자들의 미래 금리 예상을 반영합니다
     예를 들어, 장기 금리(만기가 긴 채권의 금리)가 낮아지면 이는 불경기가 올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3. 경기 상황과 돈의 가치
    경기 상황에 따라 현재 돈과 미래 돈의 교환 비율이 달라집니다:
  • 불경기 시: 현재 돈과 미래 돈의 교환 비율 차이가 작습니다.
  • 호경기 시: 현재 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져 미래 돈과의 교환 비율 차이가 커집니다
  1. 금리의 자연스러운 균형
    금리는 오르내림을 반복하며 자연스럽게 균형을 찾아갑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급격한 변동이 있으면 경제 활동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채권 시장의 중요성
    채권 시장은 단순히 현재와 미래의 돈을 교환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이 시장은 투자자들의 미래 경제에 대한 전망을 반영하며, 이를 통해 전반적인 경제 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채권 시장은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결국 투자자들의 집단적인 판단과 행동이 시장을 움직이는 핵심 동력이 됩니다. 따라서 채권 시장을 이해하는 것은 전체 경제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현재의 돈과 미래의 돈의 교환에 대해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채권 시장에서 현재의 만원과 미래의 만원이 교환되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1. 기본 개념:
    • 현재의 만원은 지금 당장 사용할 수 있는 돈입니다.
    • 미래의 만원은 일정 기간 후에 받게 될 돈입니다.
  2. 시중 이자율에 따른 거래 예시:
    • 시중 이자율이 5%일 경우:
      현재의 9,523원으로 1년 후의 만원을 살 수 있습니다.
      (9,523원 × 1.05 ≈ 10,000원)
    • 시중 이자율이 11%일 경우:
      현재의 9,009원으로 1년 후의 만원을 살 수 있습니다.
      (9,009원 × 1.11 ≈ 10,000원)
  3. 해석:
    • 이자율이 높을수록 현재 돈의 가치가 더 높아집니다.
    • 즉, 이자율이 높으면 더 적은 현재의 돈으로 미래의 만원을 살 수 있습니다.
  4. 채권 시장의 역할:
    • 채권 시장은 이러한 현재와 미래의 돈 교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 투자자들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실제 거래 가격이 결정됩니다.
  5. 경제 상황의 영향:
    • 경기가 좋을 때: 현재 돈에 대한 수요가 높아져 교환 비율의 차이가 커집니다.
    • 경기가 나쁠 때: 현재와 미래 돈의 교환 비율 차이가 작아집니다.

이렇게 채권 시장에서는 시중 이자율과 경제 상황에 따라 현재의 돈과 미래의 돈이 다양한 비율로 거래됩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경제 전망과 리스크 평가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 개인적인 견해와 느낀 점**

 

저는 채권시장이 현재와 미래의 돈의 가치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미래 경기를 예측해볼 수 있는 지표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새로웠어요.

 

단순히 금리와 채권은 반비례 관계이다라고 외우는게 아니라

원리를 이해한다면, 해당 내용을 통해 더 많은 것을 예측하고 판단 할 수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해당 내용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모두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지난 2강, 리스크 투자에서 이기는 법 (주식. 부동산 등)에 대한 포스팅도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링크 공유합니다.

 

https://wise-global-konz.tistory.com/11

 

EBS 금융 - 경제 2강 리스크, 투자에서 승리하는 법 (주식/부동산 투자 방법)

안녕하세요-! 뉴질랜드 새댁입니다. 오늘은 EBS 금융 교육 영상 2강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오늘은 저번에 이어 주식이나 부동산, 채권 등의 원리를 이해하고리스크 투자에서 승리하는 법에

wise-global-konz.tistory.com